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름철 식중독 증상 및 예방 방법! Feat 노로바이러스, 배장균

by Mr.메거진 2025. 7. 18.

여름이면 찾아오는 불청객, 식중독.
2025년은 평년보다 폭염일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만큼 식중독 위험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높은 온도와 습도는 식중독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균체와 원인과 증상, 예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살모넬라균 (Salmonella)

■ 원인

  • 덜 익힌 육류, 계란, 오염된 유제품, 식수

  주요 증상

  • 설사, 복통, 구토, 발열

  예방법

  • 계란·육류는 75℃ 이상 완전 익히기
  • 계란은 깨끗이 세척 후 냉장보관
  • 주방기구 구분

  일상 꿀팁

  • 계란은 구입 즉시 냉장
  • 마요네즈는 개봉 후 빠르게 사용
  • 여름철 계란 요리는 당일 섭취

 

  Q&A


Q1. 살모넬라균이 들어간 계란은 겉으로 알 수 있나요?
A.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조리로 예방해야 합니다.

Q2. 계란껍질이 깨지면 위험한가요?
A. 네. 깨진 계란은 세균 오염 가능성이 높아 사용을 피하세요.

Q3. 살모넬라균은 손으로도 옮길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조리 전·후 손 씻기가 필수입니다.

Q4. 냉동한 닭고기도 살모넬라균이 있을까요?
A. 냉동으로는 살균이 안 되므로 해동 후 반드시 가열하세요.

Q5. 마요네즈는 냉장고에 두면 안전한가요?
A. 개봉 후엔 냉장보관이 필수이며, 오랜 보관은 피해야 합니다.

 

2. 장출혈성 대장균

  원인

  • 덜 익힌 소고기, 오염 채소, 감염자 접촉

  주요 증상

  • 혈변, 복통, 구토, 설사

  예방법

  • 소고기는 중심부까지 완전히 익히기
  • 채소는 깨끗이 세척 후 섭취
  • 손 씻기 철저

  일상 꿀팁

  • 햄버거 패티는 속까지 완전히 익히기
  • 샐러드도 세척 후 당일 섭취
  • 생채소는 흐르는 물로 꼼꼼히 씻기

  Q&A


Q1. 대장균 감염은 어디서 많이 걸리나요?
A. 소고기 패티, 샐러드, 오염된 물에서 주로 감염됩니다.

Q2. 대장균은 열에 강한가요?
A. 아니요. 75℃ 이상에서 사멸합니다.

Q3. 대장균 감염 후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A. 용혈성 요독증후군(HUS)으로 신장 기능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Q4. 무세척 채소는 안 씻고 먹어도 되나요?
A. 씻는 것이 안전합니다. 포장 문구만 믿지 마세요.

Q5. 냄새나 색으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나요?
A. 알 수 없습니다. 반드시 위생을 철저히 하세요.

 

 

3. 캄필로박터균 (Campylobacter)


  원인

  • 덜 익힌 닭고기, 오염된 물, 생닭

  주요 증상

  • 설사, 발열, 복통, 근육통

  예방법

  • 닭고기 완전 익히기 (85℃ 이상)
  • 생닭 손질 후 주방 청소
  • 주방도구 구분

  일상 꿀팁

  • 생닭 손질 후 손·도마 세척
  • 생닭과 채소는 분리 보관
  • 생닭 주머니육즙 주의

  Q&A


Q1. 캠필로박터는 냉동하면 죽나요?
A. 죽지는 않지만 증식이 멈출 뿐입니다.

Q2. 생닭 해동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냉장 해동하거나 흐르는 찬물로 해동하세요.

Q3. 캠필로박터 감염은 얼마나 지속되나요?
A. 보통 1주일 이내 호전되지만 심할 경우 합병증 우려가 있습니다.

Q4. 캠필로박터는 닭고기만 위험한가요?
A. 주로 닭고기지만 오염된 물에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Q5. 캠필로박터 감염 후 면역은 생기나요?
A. 일시적으로 생기지만 재감염 가능성은 있습니다.

4. 노로바이러스 (Norovirus)


  원인

  • 오염된 물, 음식, 감염자 접촉

  주요 증상

  • 구토, 설사, 복통, 미열

  예방법

  • 손 씻기 철저
  • 식수는 끓여서 사용
  • 감염자와 식기구 분리(접속시 감염)

  일상 꿀팁

  • 식당·집단 급식소 위생 철저
  • 감염자 발생 시 소독 철저
  • 개인 식기 사용

 

 

  Q&A


Q1. 노로바이러스는 냄새나 맛으로 알 수 있나요?
A. 알 수 없습니다.

Q2. 노로바이러스는 끓이면 사라지나요?
A. 네. 85℃ 이상에서 사멸합니다.

Q3. 노로바이러스 감염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충분한 수분 보충과 필요시 병원 치료를 받으세요.

Q4. 감염 후 얼마 동안 전염력이 있나요?
A. 회복 후에도 며칠간 전염력이 있습니다.

Q5. 노로바이러스는 냉장이나 냉동으로 예방되나요?
A. 아니요. 냉장·냉동으로는 죽지 않으므로 조리로 예방해야 합니다.

 

5. 리스테리아균 (Listeria monocytogenes)

  원인

  • 냉장 유제품, 덜 익힌 가공식품, 해산물

  주요 증상

  • 발열, 두통, 근육통, 임산부 감염 시 유산 위험

  예방법

  • 유제품·가공육 재가열 후 섭취
  • 냉장식품은 유통기한 확인
  • 임산부는 날음식 금지

  일상 꿀팁

  • 냉장 유제품도 개봉 후 빠르게 섭취
  • 소시지·햄은 재가열 후 먹기
  • 연성치즈 피하기

  Q&A


Q1. 냉장고에서 리스테리아가 죽나요?
A. 아니요. 냉장 온도에서도 증식할 수 있습니다.

Q2. 리스테리아는 임산부에게 왜 위험하나요?
A. 태아에게 감염되면 유산이나 조산 위험이 있습니다.

Q3. 리스테리아 감염 후 어떤 치료가 필요한가요?
A. 심할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Q4. 리스테리아는 어디에서 잘 생기나요?
A. 냉장 유제품, 가공육, 해산물에서 자주 검출됩니다.

Q5. 냉장고 청소는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 최소 2주에 한 번씩 소독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Clostridium perfringens)


  원인

  • 대량 조리 음식, 장시간 보관

  주요 증상

  • 설사, 복통, 구토는 드물고 식후 8~16시간 후 증상

  예방법

  • 대량 조리 후 빠르게 식혀 냉장보관
  • 재가열은 75℃ 이상
  • 상온 방치 금지

  일상 꿀팁

  • 국·찌개는 나눠 담아 보관
  • 조리 후 2시간 이내 냉장
  • 남은 음식은 하루 내 섭취

  Q&A


Q1. 클로스트리디움은 냄새로 알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무색·무취입니다.

Q2. 냉장보관한 음식은 안전한가요?
A. 재가열이 필요합니다.

Q3. 이 균은 어디서 많이 발생하나요?
A. 대형 급식소, 뷔페 등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Q4. 감염되면 항생제가 필요한가요?
A. 대부분 경미하지만 심할 경우 의료진 상담이 필요합니다.

Q5. 식사 후 언제 증상이 나타나나요?
A. 보통 8~16시간 후에 나타납니다.

 

 

 

 

 

 

 

여름철 식중독, 기본은 “위생”입니다

항상 손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조리 후에는 빠른 보관과 재가열, 주방 청결은 습관처럼

올여름도 식중독 없는 건강한 생활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