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7월 17일, 제헌절 –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을 기념하다

by Mr.메거진 2025. 7. 17.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탄생한 날.
우리의 권리와 자유, 그리고 국가의 질서를 세운 근간이 바로 이 헌법입니다.
해방 이후 혼란 속에서도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염원으로 만들어진 헌법.
제헌절은 그날의 약속을 다시 마음에 새기는 시간입니다.
단순한 국경일이 아니라,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와 민주주의의 출발점이 되었던 바로 그날.
오늘 하루, 대한민국의 헌법과 우리가 누리는 자유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제헌절이란?


제헌절(制憲節)은 대한민국 헌법이 제정·공포된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입니다.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공포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7월 17일을 제헌절로 지정했습니다.

제헌절의 '제헌'은 ‘헌법을 제정한다’는 의미로, 국가의 근간이 되는 법을 만들고 새로운 국가 체제를 선포하는 날을 뜻합니다.

 

 

제헌절의 역사

  •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총선거가 실시
  • 1948년 5월 31일: 제1대 국회 개원
  • 1948년 7월 12일: 제1차 국회에서 대한민국 헌법안 가결
  • 1948년 7월 17일: 헌법 공포
  •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헌절을 공식 국경일로 제정

 

왜 7월 17일일까?


7월 17일은 조선왕조 개국일(1392년 7월 17일)과 날짜를 맞췄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이 역사적으로 이어져 온 민족 국가임을 강조하고자 하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제헌절이 국경일인데 공휴일은 아닌 이유
원래 제헌절은 국경일이자 공휴일이었으나,
2008년 정부의 공휴일 합리화 정책으로 공휴일 지정이 해제되었습니다.
현재는 국경일로서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이지만, 법정 공휴일은 아닙니다.

 

 

제헌절의 의미와 헌법 정신


제헌절은 단순한 국경일이 아닙니다.
헌법은 국가의 기본 질서와 국민의 권리, 의무를 규정한 최고의 법입니다.
제헌절은 헌법의 가치와 민주주의의 의미를 다시 새기는 날로,

  • 국민 주권
  • 자유와 평등
  • 법치주의
  • 인간 존엄성

이 네 가지 핵심 가치를 강조하는 헌법 정신을 되새기는 의미가 있습니다.

 

 

제헌절에 하는 일들

  • 국회 헌정 기념관 및 국회의사당에서 기념식
  • 대통령 및 정부 주요 인사, 국회의원, 시민 대표 등이 참석
  • 헌법 전문 낭독 및 기념 연설
  • 각종 언론에서 제헌절 관련 특집 방송 및 기사
  • 전국 곳곳에서 헌법 가치 알리기 캠페인
  • 개인 및 가정에서 태극기 게양

 

 

제헌절 다시 빨간날이 될 가능성

최근 국경일인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내용의 법안들이 많이 발의되면서 17년 만에 다시 재지정되는지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는 뉴스 아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16_0003254176

 

제헌절, 17년 만에 다시 '빨간날' 되나…공휴일 재지정 '관심'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최근 국경일인 제헌절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내용의 법안이 잇따라 발의되면서 제헌절이 17년 만에 다시 '빨간날'로 지정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17일 정

www.newsis.com

 

 

제헌절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 자유와 민주주의가 헌법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날
  • 대한민국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확인하는 날
  • 과거 독재와 전쟁의 시대를 넘어 민주주의를 향한 발전을 기념하는 날
  • 헌법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법치주의 사회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

 

 

제헌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A)


Q. 제헌절에도 태극기를 달아야 하나요?
A. 네, 제헌절은 국경일로 태극기를 게양해야 합니다. 다만 의무는 아니고 권장입니다.

Q. 제헌절이 왜 공휴일에서 빠졌나요?
A. 2008년 정부의 공휴일 축소 방침에 따라 휴일에서 제외되었으며, 근로자의 날과 같은 휴일과 중복 문제 등이 이유입니다.

Q. 헌법은 지금까지 몇 번 개정되었나요?
A. 대한민국 헌법은 총 9차례 개정되었습니다. (가장 최근은 1987년)

Q. 제헌절에는 어떤 기념식을 하나요?
A. 국회의사당에서 국가 주관 기념식이 열리고, 정부 및 지자체도 관련 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Q. 헌법과 법률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헌법은 국가의 최고법으로 모든 법률의 근거가 됩니다. 법률은 헌법의 범위 내에서 제정된 구체적인 법입니다.

 

 

오늘, 헌법을 생각하다


제헌절은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날이 아닙니다.
우리 삶의 기반이 되는 헌법과 민주주의, 자유와 법치의 가치를 오늘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날입니다.

태극기를 게양하고, 헌법 전문을 한 번 읽어보며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되새겨보는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